기록

Git 설치 & Github 이용방법 본문

잡다한것

Git 설치 & Github 이용방법

김아이지 2022. 7. 13. 03:19

1. Git을 설치한다.

https://gitforwindows.org/

 

Git for Windows

Git for Windows focuses on offering a lightweight, native set of tools that bring the full feature set of the Git SCM to Windows while providing appropriate user interfaces for experienced Git users and novices alike. Git BASH Git for Windows provides a BA

gitforwindows.org

설치 방법은 구글에서 git 설치방법을 검색 후 설정을 따라 설치하면 된다.

 

 

2. Github 가입하기

https://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83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Github에 가입 후 New repository를 클릭하여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

* 아래의 예시를 참고하기 위해 저장소 이름을 Test로 저장

 

 

3. 원격 저장소를 컴퓨터로 가져오기.

가져올 임의 폴더를 지정후 해당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Git Bash Here 를 클릭.

 

*최초로 설정이 필요함.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허브 계정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로그인 이메일"

 

위의 설정이 끝난 후 Github에 생성한 저장소를 불러온다.

이때 생성한 저장소에 들어가면 https://github.com/@@@@/Test.git

위와 같은 링크를 복사한다. @@@@ = 본인 깃허브 계정 이름

 

git bash - 복수, 붙여넣기 단축키

복사 - Ctrl + Insert

붙여넣기 - Shift + Insert

 

git clone 생성한 저장소 주소

ex) git clone https://github.com/@@@@/Test.git

 

본인이 설정한 임의 폴더에 생성한 저장소 이름인 Test 라는 파일명이 생성된다.

파일로 이동 후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때 "보기 - 숨김 항목(체크)"를 하면 .git 이라는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깃허브 저장소에 README.md 라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텍스트파일을 아무 이름으로 생성한다.

 

* 확장자 변환 (.txt -> .md) 방법

1. 아무이름으로 텍스트 파일 생성 후 내용 작성

2. 다른이름 저장 클릭

3. 파일이름 README.md 작성을 하고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변환 후 저장

마크다운 확장자로 저장이 된다.

 

git status 명령어로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

 

Untracked files라고 뜨면 현재 깃허브에서 생성한 저장소와 clone를 통해 내려받은 저장소가 다르기 때문이다.

현재 디렉토리(작업 디렉토리)에서 생성한 README.md 파일을 전달하기 위해 (스테이징 영역 - 가상의 공간)으로 보내야한다. 그리고 준비된 파일을 커밋(로컬 저장소)을 통해 전달한다. 다시 푸시를 통해 커밋한 파일을 (원격저장소)로 최종 업로드 한다.

 

이를 통해서 생성한 README.md 라는 파일을 Github의 Test 라는 저장소에 업로드한다. 

* 업로드 순서 *

add - commit - push

 

* git add 파일명으로 하나씩 해도되지만 Untracked된 파일을 모두 업로드하려면 git add * 명령어를 통해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 폴더를 업로드하려면 git add 폴더명

1. git add README.md (작업 디렉토리 -> 스테이징 영역으로 이동) : (git status로 확인하면 초록 글씨의 new file이 뜬다.)

 

2. git commit -m "README.md 생성" ("commit message", 커밋 - 기록과 메모(요약)를 남긴다. ex)~~생성, ~~삭제, ~~@@)

 

*(main과 master 확인)

3. git push origin master 이거나 git push origin main (커밋한것을 저장소에 업로드)

 

-- 추가 정보 --

 

** 만약 github에 잘못 업로드된 폴더나 파일을 삭제하기 위한 방법**

명령어

(폴더 삭제)

git rm --cached -r 폴더명

 

(파일 삭제)

git rm --cached -r 파일명 or git rm --cached 파일명

 

 

위의 명령어를 통해서 완전히 삭제되는 것이 아니다. 원격저장소에 있는 폴더나 파일을 삭제하기 위해서 commit 와 push 를 해줘야한다.

 

git commit -m "파일 삭제, 폴더삭제"

 

git push -u origin main

* main 이라는 현재 브랜치를 자동으로 origin 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in 브랜치로 연결 (origin 원격저장소의 main 브랜치를 로컬 저장소의 main 브랜치로 merge 해주는 의미)

 

최종적으로 깃허브를 확인하면 원하는 폴더나 파일이 삭제된것을 알 수 있다.

 

* 원격 저장소 추가 방법

git remote add origin [추가할 원격 저장소 주소]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Test1.git

git add.

git commit -m "message"

git push origin main

 

이미 기존의 원격저장소(origin)가 등록 되어 있으면 추가되지 않음.

 

* 원격 저장소 목록 조회

git remote -v

 

'잡다한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아바타 만들기  (0) 2023.02.20
해상도와 UHD 디스플레이  (0) 2023.02.10
Jupyter Notebook에 가상환경 커널 추가하기  (0) 2022.07.13
Comments